앰버디자인 LED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묻고 답하기

손오공릴게임 ㈒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규용남 작성일25-06-18 04:52 조회50회 댓글0건

본문

검증완료릴게임 ㈒ 릴예시게임 ㈒▥ 28.rea731.top ≫언론재단,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5' 분석
[미디어오늘 노지민 기자]



▲한 손으로 뉴스 홈페이지 화면이 뜬 스마트폰을 들고 있는 이미지. 사진=Getty Images Bank



한국 뉴스 이용자들의 연령대, 정치 성향별 뉴스 이용 행태가 극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17일 '미디어 서베이'(11권3호)를 통해 영국 옥스퍼드대 부설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5' 일부 조사 결과를 분석해 공개했다.
창업자금 한국은 '포털 등 검색 엔진 및 뉴스 수집 서비스 활용' 비중이 63%로 일본에 이어 두 번째 높으며, 조사 대상 48개국 평균(33%)보다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뉴스 웹사이트나 앱으로 직접 접근하는 방식을 주된 경로로 활용한다는 한국 응답자는 6%로 48개국 중 최하위권이다. 핀란드(65%), 노르웨이(63%), 덴마크(5 nh햇살론 2%), 스웨덴 (50%) 등에서 뉴스를 웹사이트 등으로 접근한다는 이용률이 높게 나타난 것과 대비된다.
유튜브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태국과 인도(각 55%), 케냐(54%)에 이어 한국과 필리핀(50%)이 상위권이다. 48개국 평균이 30%로 나타난 가운데 유튜브 뉴스 이용률 최하위권은 덴마크(7%), 노르웨이(13%), 영국(13%) sc상호저축은행대출 등이다.



▲연령대별, 정치 성향별 유튜브 뉴스 이용률(한국, 48개국)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한국의 유튜브 뉴스 이용률을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61%로 가장 높고 60대 방공제 이상(53%), 40대(48%), 20대(44%), 30대(32%) 순으로 나타나 중장년층 이용률이 두드러졌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50대는 9%p 증가했고, 20대(-6%p)와 30대(-15%p) 등 청년층은 큰 폭으로 줄었다. 보고서는 “젊은 세대가 틱톡 등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중장년층이 유튜브를 뉴스 소비의 핵심 채널로 적극 활용하고 있 러시앤캐시 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정치 성향별 유튜브 뉴스 이용률은 보수 성향이 63%로 가장 높고 중도 51%, 진보 43% 순이다. 전년도에 비해 보수 성향은 5%p 오르고, 진보 성향은 9%p 떨어졌다. 48개국 평균의 경우 보수 33%, 중도 32%, 진보 32%로 정치 성향별 이용률 차이가 거의 없는 것과 대비된다. “한국의 정치 성향별 격차가 글로벌 기준으로 매우 극단적임을 보여준다”고 풀이되는 대목이다.



▲정치성향별 뉴스 전반에 대한 신뢰(한국)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정치성향별 온라인 허위정보에 대한 우려(한국)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정치 성향별로 뉴스 전반에 대한 신뢰도 차이도 컸다. '신뢰한다'는 응답률은 진보 성향(36%)이 가장 높고 중도(31%), 보수(27%) 순이었던 반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률은 보수(42%), 진보(37%), 중도(25%) 순이다.

온라인 허위정보에 대한 우려 면에서도 정치 성향별 차이가 극명했다. 허위정보를 우려한다는 응답률이 보수 성향은 절대 다수인 74%, 중도 성향은 58%로 과반인 데 반해 진보 성향은 40%에 그쳤다.
한국 뉴스 이용자들이 뉴스를 소비하는 플랫폼이 다변화하는 경향도 확인됐다. '온라인 시청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채널'은 유튜브(53%)가 여전히 1순위였으나 전년보다는 3%p 감소했다. 틱톡은 1년 새 2%에서 15%로 13%p 급증했다. 뉴스 웹사이트 또는 앱은 6%p 증가한 28%로 나타났다. 이 밖에 인스타그램(14%)은 8%p, 페이스북(11%)과 X(10%)는 각 7%p 늘었다.



▲온라인 시청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채널(한국, 48개국)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48개국 평균의 경우 페이스북 뉴스 이용률이 전년 대비 15%p 증가한 39%로 집계돼 전체 플랫폼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증가폭 모두 높았다.

인공지능(AI) 생산 뉴스의 특징을 물은 항목에선 한국 응답자들이 '편향적이지 않다'(33%), '투명하다'(32%)고 답한 비중이 47개국 평균(각 22%, 20%)보다 높다. 보고서는 “조사대상국 평균 응답 결과에 비해 한국 응답자들이 인공지능 생산 뉴스의 공정성, 투명성, 정확성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결과는 기존 인간저널리스트들이 생산하는 뉴스에 대한 불신 및 허위정보에 대한 높은 우려 등과 연관되는 결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인공지능 생산 뉴스의 특징(인간 저널리스트와 비교) 출처=한국언론진흥재단,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한편 지역뉴스에 대해선 한국 응답자의 67%가 '관심 있다', 30%가 '관심 없다'고 답해 조사 대상국 평균(관심 있다 80%, 관심 없다 20%)보다 관심도가 낮았다. '지난 일주일 간 접근한 지역정보 유형'의 경우 조사 대상 45개국 평균은 지역뉴스(범죄·사건사고 등)와 지역정치라 답한 경우가 각 49%로 높은 반면, 한국은 지역정보(36%)·지역뉴스(33%)·지역문화행사(32%) 순으로 나타났다.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는 2012년부터 발간돼왔으며 한국은 2016년부터 참여했다. 올해 조사는 영국 온라인 조사 전문업체 유고브(YouGov)가 주관해 1월15일~2월14일 온라인에서 진행했으며 응답자는 9만8072명(한국 2038명)이다.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5'는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전문을 볼 수 있고, 언론재단이 번역한 한국어판은 오는 10월 발간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이메일추출방지정책

회사명 : 앰버디자인LED 사업자 등록번호 : 502-13-40930 대표 : 오문환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로13길 45-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2019-대구동구-0629호
전화 : 053-941-8668 팩스 : 053-941-8967 전자우편 : am8668@hanmail.net
Copyright © 2015 앰버디자인LED. All Rights Reserved.

구입문의

010-6532-8525


상담시간 평일(월 ~ 금요일)
AM 09시~12시, PM 13시~18시 까지
상담시간 외에는게시판 이용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