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성게임랜드 ☆ 35.rhx667.top ☆ 온라인황금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규용남 작성일25-08-18 20:27 조회41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75.rhd445.top 36회 연결
-
http://36.rgg799.top 37회 연결
본문
【37.rhx667.top】
천상병 시인이 즐겨 걸었던 노원골(수락계곡)을 중심으로 뒷동산처럼 부담 없이 가 볼 수 있는 수락산 귀임봉과 여름에도 시원한 수락산무장애숲길을 연계해 걷는다. 천상병 시인이 인생을 소풍에 비유했던 것처럼 이 길은 '수락산 소풍길'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휴식과 자연 관찰, 역사유적 견학이나 운동을 위해 야외에 다녀오는 일'이라는 국어사전의 '소풍'의 개념에서 보면, 소풍의 확장이 우리의 삶일 것이다.
이 길은 숲, 계곡, 전망의 세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길이다. '소풍'의 정의 대로 문학기행, 역사탐방, 운동효과의 세 가지를 같이 누릴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문학 기행을 하고 역사 유적을 답사하고 숲과 계곡과 전망을 즐기며 자 개인회생자대출가능한곳 연풍광에 매료되는 사이 힐링과 운동이 저절로 되는 수락산 소풍길 여행을 떠나본다. 전망 좋은 산위에서 맛볼 도시락이나 간식을 챙겨가면 더 좋다.
새마을금고 자소서 항목
▲ 천상병테마공원의 시판 천상병테마공원에서 수락산숲속교실까지 500여 m의 천상병산길에 시판이 줄지어 서 있어 여유와 쉼을 만들어 준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근로자대출조건
출발하자마자 천상병 문학기행
비가 오락가락 하던 8월 9일 이 길을 걸었다. 출발은 수락산역 3번 출구에서 한다.
출발하자마자 천상병 문학기행이 시작된다. 천 시인은 젊어서 일명 '동백림사건'이라는 중앙정보부의 간첩 조작 사건으로 무고하게 끌려가 고문후유증을 앓으며 살아야 했다 정기예금상품 . 자신을 간호했던 목옥순씨와 43세이던 1972년 결혼한 후부터 8년 간 수락산 아래에서 살며 전성기 문학활동을 펼쳤다.
지금은 수락산 역세권 동네로 변했지만 시인이 살 때는 한적한 빈민촌이었다. 수락산역 3번 출구 앞의 골목길로 들어가 좌회전 한번, 우회전 한번 하고 100m 쯤 직진하면 시인이 살던 집터이다. 이 중소기업진흥공단 자리에 지금은 경서레디빌 B동이 들어서 있다. 그런데 시인의 집터였음을 알리는 안내판조차 없다.
▲ 천상병 시인 집터와 시작詩作 가로등 지금은 빌라가 들어선 수락산 아래 천상병 집터와 천상병산길이 시작되는 곳까지 시를 새겨놓은 가로등
ⓒ (사)사람길걷기협회
집터에서 수락산 가는 길은 '보행자 중심의 걷고 싶은 거리'를 표방한 '디자인거리'이다. 이 길은 '천상병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거리의 가로등 기둥은 모두 천 시인의 시작詩作으로 채워져 있어 조금만 걸음을 늦추면 여유롭게 시를 감상하며 걸을 수 있다. 이 길의 중간쯤 되는 부분에 '귀천정'이라는 정자가 있는 천상병공원이 있다.
▲ 천상병공원과 타임캡슐 디자인거리에 '귀천정'이란 정자가 있는 천상병공원이 있다. 공원엔 천 시인이 썼던 안경, 찻잔, 집필원고 등 시인의 유품 203점이 묻혀있는 타임캡슐(2130년에 개봉)이 있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 천상병시인상 공원엔 천 시인의 소박하고 천진한 일상의 모습을 표현한 조형물이 설치돼 웃음을 자아낸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공원에 설치된 동상이 참 재밌다. 행복한 표정의 시인의 팔을 한 아이가 잡아 끄는지 매달리는지 하고 있고 똥개가 시인의 벗겨진 신발 한짝을 쥐고 물어뜯고 있다. 천 시인의 소박하고 천진한 모습과 딱 맞는 조형물이다. 천 시인의 타임캡슐도 눈에 띈다. 탄생 200주년이 되는 2130년에 개봉한다고 한다.
디자인거리는 노원평전투대첩비에서 끝나고 이곳부터 '천상병산길'이 이어진다. 시인도 매일 아침 이 길을 걸었다. 길 옆은 계곡이 흐르고, 숲이 우거진 길을 따라 시인의 시를 새긴 시판이 줄이어 서 있다.
▲ 천상병산길 천상병테마공원부터 천상병 문화마당 - 수락산숲속교실까지의 500여m의 수락계곡길이 천상병산길이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여름이 되면
새벽 5시에 깨어서
산 계곡으로 올라와
날마다 목욕을 한다.
아침마다 만나는 얼굴들의
제법 다정한 이야기들
...
목욕하고 있다 보면
계곡 흐름의 그윽한 정취여
-<계곡흐름> 천상병
천상병산길이 끝나는 곳 어디, 바위 많은 이곳의 웅덩이가 만들어진 어디에서 시인이 목욕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본다. 그가 이 산에 가득하다. 그가 좋아했던 수락산이 영원한 쉼터가 된 듯하다.
도시의 뒷동산에서 첩첩 산을 대하다
천상병산길에서 몇걸음만 오르면 강북지역 최고의 전망을 맛볼 수 있는 귀임봉(285m)이 있다. 귀임봉은 수락산의 가장 남쪽에 외따로 있는 작은 봉우리이다. 어렸을 때 뛰놀다 멋모르고 오른 뒷동산처럼 잠시, 아주 잠깐 몇 걸음 오를 뿐인데(천상병산길이 끝나는 지점에서 900m, 30분 소요), 최고의 조망을 선사해 주는 이런 곳이 또 없을 듯하다.
▲ 귀임봉 중간 조망점 노원, 도봉, 강북구에서 이어지는 서울 도시 풍경과 서편에 북한산과 도봉산이 웅장한 자태가 드러난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강북5산의 중앙에 귀임봉이 오똑 솟아있는 느낌이다. 중간 조망점에서 노원, 도봉, 강북구에서 이어지는 뻥 뚫린 서울의 광활한 도시 풍경이 펼쳐지고 서편에 북한산과 도봉산이 웅장한 자태를 뽐낸다.
▲ 귀임봉에서 본 수락산 수락산의 남쪽 끝 봉우리인 귀임봉에서 첩첩 산그리메 속 우뚝 솟은 수락산의 웅장산 모습을 바라본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이것이 끝이 아니다. 귀임봉 정상에선 동으로 수락산과 불암산의 웅장한 경치에 압도된다. 이날은 비가 흩뿌린 뒤에 운무가 수락산을 타고 오르는 풍경에 넋을 잃었다. 문명이라곤 덕능고개에 삐죽 고개를 내민 수도권순환고속도로다. 이따금 그곳을 지나는 차가 애교스럽다. 잠깐 만에 첩첩산중에 서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만큼 황홀하다.
뜻하지 않게 다가온 고구려보루의 서정
하산길에 뜻하지 않은 풍경에 매료됐다. 삼국시대에 아차산으로 이어지는 고구려의 척후 및 방어기지였던 보루 중 가장 최근에 발굴된 보루가 이 수락산보루(192m)이다. 역시 강북5산의 가운데에 돌출돼 있는 귀임봉은 과거에도 전략상 중요한 위치를 점했을 것이다. 보루의 위치상, 산성으로 치자면 곡성과 비슷한 역할을 했을 것 같다.
▲ 수락산보루 고구려의 아차산보루군의 하나인 수락산보루가 서울에 있는 삼국시대 보루 중 가장 최근에 발굴되었다. 귀임봉 밑의 이 보루를 수락산1보루, 귀임봉 정상 서쪽의 보루를 수락산2보루로 구분한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과거엔 긴장감 넘치는 장소였을 텐데 언덕에 꽃이 가득하고 저 아래 산자락 계곡에 들어앉은 동네까지 아늑하게 품고 있는 모습의 따뜻함 가득한 서정에 매료된다. 정말로 어린 시절 정신없이 뛰놀던 뒷동산이 재현된듯 영화의 한 장면 같은 장소이다.
땡볕 여름에도 시원한 수락산 자락의 깊은 숲길
▲ 수락산무장애숲길 빼곡한 나무들 사이로 수락산 자락의 울창한 숲속을 걷는 데크길이 이어진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아쉽지만 내려선다. 하산 끝에 수락산 자락의 울창한 숲을 경험할 수 있는 수락산무장애숲길의 시작점을 만난다. 이곳부터(수락한옥 어린이집 부근 종달새어린이공원) 노원골까지 1.7km의 수락산무장애숲길의 전체 코스를 걸을 수 있다.
어떻게 이렇게 빼곡한 숲속에 이렇게 예쁘게 데크길을 놨을까 의아할 정도이고, 그만큼 숲이 좋다. 시작부터 시원함이 확 느껴지도록 숲이 울창하다. 등산로와 서울둘레길로 통하는 연결로도 잘 돼있어 신경 많이 쓴 열린 길이고, 곳곳에 쉼터와 휠체어를 위한 대기 장소가 촘촘히 마련된 배려 많은 길이다.
수락산 참나무 맨발 숲길의 자유로움
무장애숲길이 끝날 무렵 수락산 참나무 맨발 숲길과 연결된다. 티끌 하나 없어보이는 흙길이 숲속에 거미줄 처럼 이어진다. 맨발 숲길을 내려서는 곳은 천상병산길의 초입이다. 이곳에 화장실이 있고 화장실 옆엔 발을 씻는 곳이 마련돼 있으니 아무 걱정 말고 맨발로 걸어보자.
▲ 참나무 맨발 숲길 수락산무장애숲길이 끝날 무렵 참나무 맨발 숲길로 나갈 수 있는 연결로가 있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맨발은 자유를 떠올리게 한다. 온갖 보호막으로 감싸고 살다가 맨발이 되고자 할 때 모든 인위와 가식을 벗고 땅의 숨결을 느끼며 대지와 호흡하고 자연과 하나된다. 그 순간이 될 때 나는 자유를 얻는다.
▲ 맨발 숲길 발 씻는 곳 맨발 숲길의 연못을 지나 천상병산길 초입의 천상병테마공원으로 내려서면 화장실과 발 씻는 곳이 마련돼 있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맨발 숲길을 내려서서 발에 묻은 흙을 닦는 순간, 소풍 떠났던 오늘 하루가 정리되는 느낌이다. 걷기 끝나는 곳은 시작한 곳과 같다. 다시 노원골 천상병산길 초입으로 돌아와 수락산역으로 향한다. 이젠 다른 것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거리에 빼곡한 음식점 간판이 소풍길의 마지막 행복감을 책임져 준다.
수락산 소풍길 정보
◇길의 유형/형태 : 산길·숲길/자연길·데크길◇거리/난이도 : 7.5km/초중급◇소요 시간: 2시간30분◇시작/종료 지점 : 수락산역 3번 출구/수락산역◇경유지 : 천상병시인 집터- 디자인거리- 천상병공원-천상병산길-귀임봉-수락산무장애숲길-참나무맨발숲길-수락산역◇화장실: 천상병산길 초입, 종달새어린이공원, 노원골유아숲체험원
응용 코스
1. 서울둘레길 : 수락산무장애숲길과 노원골이 만나는 지점이 가까워올 때부터 서울둘레길 1코스와 만난다. 수락산무장애숲길 중간 중간에 위쪽의 서울둘레길로 가는 연결로가 있다.
수락산 소풍길 지도
▲ 수락산 소풍길 지도 수락산역 3번 출구에서 시작해 천상병산길-귀임봉-수락산무장애숲길을 걷고 원점회귀한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덧붙이는 글
황금성게임랜드 ☆ 92.rhx667.top ☆ 온라인황금성
황금성게임랜드 ☆ 10.rhx667.top ☆ 온라인황금성
황금성게임랜드 ☆ 80.rhx667.top ☆ 온라인황금성
황금성게임랜드 ☆ 22.rhx667.top ☆ 온라인황금성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바다이야기슬롯 무료바다이야기게임 강원랜드 잭팟 확률 손오공 릴게임 카지노 슬롯머신 잭팟 오션파라다이스7게임 강원랜드 슬롯머신 하는법 야마토카지노 알라딘체험머니 바다이야기 코드 릴게임사이다 신천지게임 하는곳 프라그마틱 슬롯 무료체험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체리마스터 공략 릴게임 체리마스터 야마토게임 방법 프라그마틱 홈페이지 성인오락황금성 바다이야기 사이트 먹튀 한국파친코 황금성3게임다운로드 릴박스 체리마스터 어플 온라인 릴게임 정보 황금성게임다운받기 야마토하는곳 야마토3게임다운로드후기 알라딘릴게임장 최신바다이야기게임 알라딘꽁머니 로또달팽이 온라인예시게임 신천지게임 하는곳 오리 지날야마토2게임 사이트추천 오션파라다이스다운 신바다이야기 야마토5 바다이야기 먹튀 돈 받기 블랙잭하는법 우주전함야마토게임 유니티 슬롯 머신 오리 지날황금성9게임 Pg 소프트 무료 체험 릴게임바다이야기 카지노 슬롯 게임 추천 바다이야기 체리마스터 어플 황금성공략법 jQuery 슬롯 머신 슬롯종류 인터넷손오공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오락실황금성 온라인삼국지 릴게임신천지 바다슬롯먹튀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 온라인릴게임 꽁머니릴게임 슬롯머신 기계 구입 백경 게임 슬롯종류 오리지날바다 손오공게임온라인 온라인게임순위 2018 릴게임연타 황금성온라인주소 릴게임사이다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Pg 소프트 무료 체험 체리마스터 릴게임 릴야마토 황금성게임설명 유희왕 황금성 인터넷 바다이야기 슬롯머신 기계 구입 릴114 바다이야기 부활 바다이야기공략법 슬롯모아 오션파라 다이스하는방법 다빈치릴게임다운로드 릴게임골드몽사이트 일본빠칭코게임 백경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동영상 져스트릴게임 황금성 제주도 슬롯머신 하는법 양귀비게임 무료 야마토 게임 오리지널 바다이야기 온라인 슬롯머신 바다이야기앱 무료 메가 슬롯 머신 황금성3 황금성온라인게임 바다이야기5 인터넷바다이야기 빠칭코 슬롯머신 릴게임 다빈치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꽁머니릴게임 황금성후기 모바일오션파라다이스7 릴게임다운 강원랜드 슬롯머신 규칙 신 천지 게임 바다이야기하는곳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바다이야기온라인 온라인삼국지 카지노 슬롯 게임 추천 오리지날황금성 바다이야기게임하기 최신바다이야기게임 빠칭코게임 프라그마틱 무료체험 메타 체리마스터 우주전함야마토2205 야마토5다운로드게임사이트 [나일영 기자]천상병 시인이 즐겨 걸었던 노원골(수락계곡)을 중심으로 뒷동산처럼 부담 없이 가 볼 수 있는 수락산 귀임봉과 여름에도 시원한 수락산무장애숲길을 연계해 걷는다. 천상병 시인이 인생을 소풍에 비유했던 것처럼 이 길은 '수락산 소풍길'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에서 휴식과 자연 관찰, 역사유적 견학이나 운동을 위해 야외에 다녀오는 일'이라는 국어사전의 '소풍'의 개념에서 보면, 소풍의 확장이 우리의 삶일 것이다.
이 길은 숲, 계곡, 전망의 세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길이다. '소풍'의 정의 대로 문학기행, 역사탐방, 운동효과의 세 가지를 같이 누릴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문학 기행을 하고 역사 유적을 답사하고 숲과 계곡과 전망을 즐기며 자 개인회생자대출가능한곳 연풍광에 매료되는 사이 힐링과 운동이 저절로 되는 수락산 소풍길 여행을 떠나본다. 전망 좋은 산위에서 맛볼 도시락이나 간식을 챙겨가면 더 좋다.
새마을금고 자소서 항목
▲ 천상병테마공원의 시판 천상병테마공원에서 수락산숲속교실까지 500여 m의 천상병산길에 시판이 줄지어 서 있어 여유와 쉼을 만들어 준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근로자대출조건
출발하자마자 천상병 문학기행
비가 오락가락 하던 8월 9일 이 길을 걸었다. 출발은 수락산역 3번 출구에서 한다.
출발하자마자 천상병 문학기행이 시작된다. 천 시인은 젊어서 일명 '동백림사건'이라는 중앙정보부의 간첩 조작 사건으로 무고하게 끌려가 고문후유증을 앓으며 살아야 했다 정기예금상품 . 자신을 간호했던 목옥순씨와 43세이던 1972년 결혼한 후부터 8년 간 수락산 아래에서 살며 전성기 문학활동을 펼쳤다.
지금은 수락산 역세권 동네로 변했지만 시인이 살 때는 한적한 빈민촌이었다. 수락산역 3번 출구 앞의 골목길로 들어가 좌회전 한번, 우회전 한번 하고 100m 쯤 직진하면 시인이 살던 집터이다. 이 중소기업진흥공단 자리에 지금은 경서레디빌 B동이 들어서 있다. 그런데 시인의 집터였음을 알리는 안내판조차 없다.
▲ 천상병 시인 집터와 시작詩作 가로등 지금은 빌라가 들어선 수락산 아래 천상병 집터와 천상병산길이 시작되는 곳까지 시를 새겨놓은 가로등
ⓒ (사)사람길걷기협회
집터에서 수락산 가는 길은 '보행자 중심의 걷고 싶은 거리'를 표방한 '디자인거리'이다. 이 길은 '천상병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거리의 가로등 기둥은 모두 천 시인의 시작詩作으로 채워져 있어 조금만 걸음을 늦추면 여유롭게 시를 감상하며 걸을 수 있다. 이 길의 중간쯤 되는 부분에 '귀천정'이라는 정자가 있는 천상병공원이 있다.
▲ 천상병공원과 타임캡슐 디자인거리에 '귀천정'이란 정자가 있는 천상병공원이 있다. 공원엔 천 시인이 썼던 안경, 찻잔, 집필원고 등 시인의 유품 203점이 묻혀있는 타임캡슐(2130년에 개봉)이 있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 천상병시인상 공원엔 천 시인의 소박하고 천진한 일상의 모습을 표현한 조형물이 설치돼 웃음을 자아낸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공원에 설치된 동상이 참 재밌다. 행복한 표정의 시인의 팔을 한 아이가 잡아 끄는지 매달리는지 하고 있고 똥개가 시인의 벗겨진 신발 한짝을 쥐고 물어뜯고 있다. 천 시인의 소박하고 천진한 모습과 딱 맞는 조형물이다. 천 시인의 타임캡슐도 눈에 띈다. 탄생 200주년이 되는 2130년에 개봉한다고 한다.
디자인거리는 노원평전투대첩비에서 끝나고 이곳부터 '천상병산길'이 이어진다. 시인도 매일 아침 이 길을 걸었다. 길 옆은 계곡이 흐르고, 숲이 우거진 길을 따라 시인의 시를 새긴 시판이 줄이어 서 있다.
▲ 천상병산길 천상병테마공원부터 천상병 문화마당 - 수락산숲속교실까지의 500여m의 수락계곡길이 천상병산길이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여름이 되면
새벽 5시에 깨어서
산 계곡으로 올라와
날마다 목욕을 한다.
아침마다 만나는 얼굴들의
제법 다정한 이야기들
...
목욕하고 있다 보면
계곡 흐름의 그윽한 정취여
-<계곡흐름> 천상병
천상병산길이 끝나는 곳 어디, 바위 많은 이곳의 웅덩이가 만들어진 어디에서 시인이 목욕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본다. 그가 이 산에 가득하다. 그가 좋아했던 수락산이 영원한 쉼터가 된 듯하다.
도시의 뒷동산에서 첩첩 산을 대하다
천상병산길에서 몇걸음만 오르면 강북지역 최고의 전망을 맛볼 수 있는 귀임봉(285m)이 있다. 귀임봉은 수락산의 가장 남쪽에 외따로 있는 작은 봉우리이다. 어렸을 때 뛰놀다 멋모르고 오른 뒷동산처럼 잠시, 아주 잠깐 몇 걸음 오를 뿐인데(천상병산길이 끝나는 지점에서 900m, 30분 소요), 최고의 조망을 선사해 주는 이런 곳이 또 없을 듯하다.
▲ 귀임봉 중간 조망점 노원, 도봉, 강북구에서 이어지는 서울 도시 풍경과 서편에 북한산과 도봉산이 웅장한 자태가 드러난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강북5산의 중앙에 귀임봉이 오똑 솟아있는 느낌이다. 중간 조망점에서 노원, 도봉, 강북구에서 이어지는 뻥 뚫린 서울의 광활한 도시 풍경이 펼쳐지고 서편에 북한산과 도봉산이 웅장한 자태를 뽐낸다.
▲ 귀임봉에서 본 수락산 수락산의 남쪽 끝 봉우리인 귀임봉에서 첩첩 산그리메 속 우뚝 솟은 수락산의 웅장산 모습을 바라본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이것이 끝이 아니다. 귀임봉 정상에선 동으로 수락산과 불암산의 웅장한 경치에 압도된다. 이날은 비가 흩뿌린 뒤에 운무가 수락산을 타고 오르는 풍경에 넋을 잃었다. 문명이라곤 덕능고개에 삐죽 고개를 내민 수도권순환고속도로다. 이따금 그곳을 지나는 차가 애교스럽다. 잠깐 만에 첩첩산중에 서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만큼 황홀하다.
뜻하지 않게 다가온 고구려보루의 서정
하산길에 뜻하지 않은 풍경에 매료됐다. 삼국시대에 아차산으로 이어지는 고구려의 척후 및 방어기지였던 보루 중 가장 최근에 발굴된 보루가 이 수락산보루(192m)이다. 역시 강북5산의 가운데에 돌출돼 있는 귀임봉은 과거에도 전략상 중요한 위치를 점했을 것이다. 보루의 위치상, 산성으로 치자면 곡성과 비슷한 역할을 했을 것 같다.
▲ 수락산보루 고구려의 아차산보루군의 하나인 수락산보루가 서울에 있는 삼국시대 보루 중 가장 최근에 발굴되었다. 귀임봉 밑의 이 보루를 수락산1보루, 귀임봉 정상 서쪽의 보루를 수락산2보루로 구분한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과거엔 긴장감 넘치는 장소였을 텐데 언덕에 꽃이 가득하고 저 아래 산자락 계곡에 들어앉은 동네까지 아늑하게 품고 있는 모습의 따뜻함 가득한 서정에 매료된다. 정말로 어린 시절 정신없이 뛰놀던 뒷동산이 재현된듯 영화의 한 장면 같은 장소이다.
땡볕 여름에도 시원한 수락산 자락의 깊은 숲길
▲ 수락산무장애숲길 빼곡한 나무들 사이로 수락산 자락의 울창한 숲속을 걷는 데크길이 이어진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아쉽지만 내려선다. 하산 끝에 수락산 자락의 울창한 숲을 경험할 수 있는 수락산무장애숲길의 시작점을 만난다. 이곳부터(수락한옥 어린이집 부근 종달새어린이공원) 노원골까지 1.7km의 수락산무장애숲길의 전체 코스를 걸을 수 있다.
어떻게 이렇게 빼곡한 숲속에 이렇게 예쁘게 데크길을 놨을까 의아할 정도이고, 그만큼 숲이 좋다. 시작부터 시원함이 확 느껴지도록 숲이 울창하다. 등산로와 서울둘레길로 통하는 연결로도 잘 돼있어 신경 많이 쓴 열린 길이고, 곳곳에 쉼터와 휠체어를 위한 대기 장소가 촘촘히 마련된 배려 많은 길이다.
수락산 참나무 맨발 숲길의 자유로움
무장애숲길이 끝날 무렵 수락산 참나무 맨발 숲길과 연결된다. 티끌 하나 없어보이는 흙길이 숲속에 거미줄 처럼 이어진다. 맨발 숲길을 내려서는 곳은 천상병산길의 초입이다. 이곳에 화장실이 있고 화장실 옆엔 발을 씻는 곳이 마련돼 있으니 아무 걱정 말고 맨발로 걸어보자.
▲ 참나무 맨발 숲길 수락산무장애숲길이 끝날 무렵 참나무 맨발 숲길로 나갈 수 있는 연결로가 있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맨발은 자유를 떠올리게 한다. 온갖 보호막으로 감싸고 살다가 맨발이 되고자 할 때 모든 인위와 가식을 벗고 땅의 숨결을 느끼며 대지와 호흡하고 자연과 하나된다. 그 순간이 될 때 나는 자유를 얻는다.
▲ 맨발 숲길 발 씻는 곳 맨발 숲길의 연못을 지나 천상병산길 초입의 천상병테마공원으로 내려서면 화장실과 발 씻는 곳이 마련돼 있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맨발 숲길을 내려서서 발에 묻은 흙을 닦는 순간, 소풍 떠났던 오늘 하루가 정리되는 느낌이다. 걷기 끝나는 곳은 시작한 곳과 같다. 다시 노원골 천상병산길 초입으로 돌아와 수락산역으로 향한다. 이젠 다른 것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거리에 빼곡한 음식점 간판이 소풍길의 마지막 행복감을 책임져 준다.
수락산 소풍길 정보
◇길의 유형/형태 : 산길·숲길/자연길·데크길◇거리/난이도 : 7.5km/초중급◇소요 시간: 2시간30분◇시작/종료 지점 : 수락산역 3번 출구/수락산역◇경유지 : 천상병시인 집터- 디자인거리- 천상병공원-천상병산길-귀임봉-수락산무장애숲길-참나무맨발숲길-수락산역◇화장실: 천상병산길 초입, 종달새어린이공원, 노원골유아숲체험원
응용 코스
1. 서울둘레길 : 수락산무장애숲길과 노원골이 만나는 지점이 가까워올 때부터 서울둘레길 1코스와 만난다. 수락산무장애숲길 중간 중간에 위쪽의 서울둘레길로 가는 연결로가 있다.
수락산 소풍길 지도
▲ 수락산 소풍길 지도 수락산역 3번 출구에서 시작해 천상병산길-귀임봉-수락산무장애숲길을 걷고 원점회귀한다.
ⓒ (사)사람길걷기협회
덧붙이는 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