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찡코 ㎣ 2.rhd445.top ㎣ 오션바다이야기게임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하이규오 작성일25-09-04 13:31 조회2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66.rzp621.top 2회 연결
-
http://64.rec313.top 2회 연결
본문
【65.rhd445.top】
어느 날, 극우적 생각을 내보이며 부모를 걱정 시키는 아이. 더 나아가 서울서부지법 폭력 난동에 참여한 10대들.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자라고 있는 것인가. 한국일보는 10대들의 정치 인식을 분석하고 그 원인과 해법을 파고 들었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10학년 학생들이 정치 과목 수업에 참여해 의견을 말하기 위해 손을 드는 모습. 이날 수업에선 미 워싱턴포스트와 독일 연방군이 촬영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보도사진의 관점을 비교·분석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저 서울 직장 는 토론하는 수업이 편하고 좋아요. 어른이 되면 직접 정치적 판단을 하게 되잖아요. 학교에서 연습해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지난 5월 20일 오전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마리퀴리 김나지움(독일 인문계 중·고등학교 과정). 토론 수업을 막 마친 남학생 에밀 퓐프스튀크(17)는 눈을 빛내며 말했다. 기자 앞으로 무직자 개인회생 먼저 의자를 끌고 와 적극적인 태도로 답변하는 것만 해도 우리나라 공교육 현장에서 쉽게 보기 어려운 모습이었다.
전쟁 사진에서 의도 읽어내는 학생들... 교실이 시끄럽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10학년을 대상으로 정 사금융연체되면 치 과목 수업이 진행되는 모습.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교실 모니터 화면 왼쪽에는 독일 연방군, 오른쪽에는 워싱턴포스트가 찍은 전쟁 보도사진이 띄워져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이날 10학년(한국의 고교 1학년) 20여 명이 모인 학급의 수업 주제는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사진 분석' 주택공급신청서 이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보도사진을 분석해보는 수업으로, 교실 앞 큰 모니터 화면에는 각각 독일 연방군, 워싱턴포스트발 사진이 나란히 띄워졌다.
뤼디거 베커 정치 교사는 조별로 학생 4, 5명씩을 나눠 앉히고, 5분간 각자 배정받은 사진 한 장을 나름대로 분석한 다음 그 내용을 조원들과 공유하도록 했다. 교실은 학생들이 열띠게 의견 주택청약예금 을 나누는 소리로 금세 시끄러워졌다.
토의가 끝나자 조별로 교실 앞에 나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독일 연방군발 사진을 맡은 조에 주어진 사진은 모래먼지를 일으키며 전진 중인 우크라이나 탱크 사진, 단체로 모인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군복과 무기를 갖추고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진 등이었다. 초반엔 주로 "큰 탱크가 돌진하고 있다" "단체사진은 연출된 것으로 보인다" 등 장면 자체를 묘사하는 단순한 분석이 나왔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10학년 대상 정치 수업이 토론형으로 진행되는 모습. 조별로 모여 앉은 학생들이 각자 배정받은 사진을 태블릿으로 보며 분석하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인상적인 건 그다음부터였다. 베커 교사가 "독일 연방군 사진에서 어떤 의도가 보이느냐"고 묻자 학생들은 주저하지 않고 손을 들었다. 한 학생이 "탱크 사진은 군대의 권력과 힘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답했다. 또 다른 학생은 "강인해 보이는 단체사진을 통해 우크라이나에도 승전의 희망이 있다는 걸 보여주려는 것 같다"고 했다.
워싱턴포스트 사진을 맡은 조도 마찬가지 순서로 논의가 진전됐다. 참담한 표정을 짓는 전쟁 피란민의 모습, 폐허가 된 마을과 칙칙한 회색빛 하늘의 모습이 담긴 사진 구석구석을 묘사하던 학생들은 이내 "독일 연방군과 달리 워싱턴포스트는 전쟁의 우울함과 슬픔을 강조하고 있다"는 분석에 도달했다.
베커 교사는 끝으로 둘 중 어떤 관점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어떤 학생은 "우크라이나가 강하다는 메시지를 강조할 수 있으니 독일 연방군 사진이 더 적절하다"고 답했고, 또 다른 학생은 "워싱턴포스트 사진이 전쟁 참상을 현실적으로 보여줘 더 바람직하다"고 했다. "시각이 편향되지 않으려면 두 관점 모두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도 있었다. 교사도 학생도, 어떤 의견이 정답이라고 확정 짓지 않은 채 수업이 마무리됐다.
"학생이 정치에 대해 판단하도록 돕는 게 공교육의 역할"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마리퀴리 김나지움 교무실에서 뤼디거 베커(왼쪽) 정치 교사와 토마스 마이네케 교장이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이날 이뤄진 토론형 시민교육은 독일 공교육에선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수업 형태다. 1976년 채택된 이래 현재까지 독일 시민·정치교육의 제1 원칙으로 적용되는 '보이텔스바흐 원칙' 덕이다.
△주입 금지(교사가 정치적 입장을 학생에게 강요해선 안 됨) △논쟁성의 원칙(사회·학문적으로 논쟁적인 사안은 수업에서도 논쟁적으로 다뤄야 함) △자기 이익 판단 능력 강화(교육의 목적은 학생이 이해관계에 따라 정치적으로 행동하도록 판단력을 키우는 것)를 말한다. 자신의 이익에 충실하도록, 즉 서민이 고소득층의 이익을 위해 투표하는 등의 계층 배반적 선택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점이 눈에 띈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진행된 토론형 정치 수업에서 베커 교사가 10학년 학생들의 토의를 돕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보이텔스바흐 원칙은 교권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수업에서 정치 주제를 다뤘단 이유로 민원이 들어오진 않는지 묻자, 또 다른 정치 교사인 윌리엄 슈탈은 당연하다는 듯 "그런 일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 "학부모들도 학생이 수업에서 있는 그대로의 정보를 배우고 그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도록 돕는 게 공교육의 책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독일의 주 단위로 배포되는 교육 커리큘럼엔 "정치 수업에는 분석 및 토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있는데,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그 자체로 교사의 수업권이 보장된다. 독일 헌법상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전파할 권리'가 명시된 점도 마찬가지다.
토론의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토마스 마이네케 교장은 "수업뿐만 아니라 AFD(독일의 유명 극우 정당)나 좌파당 등 다양한 정당 정치인을 학교로 섭외해 토론을 한다"며 "그때 학생들은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고, 이성적으로 토론에 참여하며 스스로 판단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전했다.
"친구들과 교육 정책, 전쟁에 대해 대화... 두렵지 않아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마리퀴리 김나지움의 10학년 대상 토론형 정치 수업에서 한 학생이 발언을 하기 위해 손을 들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학생들 역시 토론형 시민교육을 통해 실생활에서 효과를 체감한다고 입을 모았다. 수업에 적극 참여한 헬레네 에어케(16)는 "매일 듣는 뉴스지만 미디어 속 정보는 너무 광범위해 판단이 어려울 때가 있다"며 "이런 수업을 듣고 나면 요약도 되고 뉴스가 더 잘 이해된다"고 말했다.
정치·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과 적극성도 커진다. 퓐프스튀크는 "평소 친구들과 정치·사회 문제에 대해 정말 많이 얘기한다"며 "요즘은 학교 교육 정책이나 전쟁 문제같이 우리 일상과 직접 연관된 이슈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고 말했다. 마라 토노(16)는 "모든 학생이 수업에서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고, 잘 모르더라도 선생님이 함께 논의하도록 도와주니 두렵지 않다"고 했다.
역사인식을 제대로 확립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그간 받았던 시민교육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수업을 묻자 퓐프스튀크는 "나치에 대한 역사를 배웠을 때"라고 즉답했다. 그러더니 스스로 부연했다. "민주주의가 언제든 공격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걸 학교에서 배워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어요."
<소년이 자란다>시리즈
①소년을 만나다 ②10대와 정치 ③유튜브와 아이들
④독일의 교실 ⑤핀란드의 교실 ⑥대책 없는 정부
■ 목차별로 읽어보세요
① 소년을 만나다
• 극우 집회서 만난 16살 도현이···"부모님이 초5부터 학교 안 보내, 교회서 역사 공부했다"(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1915230000367)
• 이승만 업적쓰기 수행평가, 군사훈련···교회 대안학교 탈출하려니 숟가락 던진 부목사(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3015550002059)
② 10대와 정치
• 고교생 10명 중 4명 '개표 부정' 믿고 계엄엔 반대…'십대남' 현상 확인됐다(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2906560003629)
• '노무현 조롱'이 놀이가 된 교실…교사들 "민원 무서워 아무 말 안 해요"(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3010280001301)
③ 유튜브와 아이들
• 페미니즘 때리면 구독자 오른다...10대 파고드는 극우 유튜버들(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90215480001135)
• "3년 반 동안 단 5건"...유튜브 가짜뉴스에 손 놓은 정부(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3010100004901)
※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브란덴부르크=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무료야마토릴게임 ㎣ 44.rhd445.top ㎣ 황금성3게임연타
야마토예시 ㎣ 5.rhd445.top ㎣ 황금성용가리
슬롯머신게임 ㎣ 44.rhd445.top ㎣ 오리 지날 바다
릴게임 5만 ㎣ 85.rhd445.top ㎣ 프라그마틱 슬롯 조작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바다이야기먹튀돈받기 무료충전게임 모바일파칭코 창원경륜경륜장 인터넷예시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체험 릴게임바다이야기 야마토게임공략방법 야마토2 pc버전 다빈치다운로드 바다이야기슬롯 바다이야기 릴게임 사이트 추천 및 안내 소액 슬롯 추천 인터넷백경 온라인신천지게임 한게임바둑이추천 우주전함야마토2205 바다이야기pc게임 슬롯머신 무료체험 릴게임 무료머니 오션파라다이스 다운 알슬롯 빠징코 슬롯머신 야마토하는곳 알라딘체험머니 야마토5게임방법 카지노 잭팟 오션슬롯 주소 10원야마토게임 강원랜드 잭팟 확률 야마토무료게임 인터넷예시게임 황금성잭팟 릴게임 다빈치 바다이야기 게임 릴114 손오공릴게임예시 다빈치릴게임다운로드 야마토2다운로드 빠징코 슬롯머신 릴게임 신천지사이트 바다이야기넥슨 오리지널야마토 온라인 슬롯머신 오리지날바다 양귀비게임설명 10원바다이야기 슬롯머신 영어로 프라그마틱 무료 바다이야기 5만 무료인터넷게임 양귀비게임설명 야마토2릴게임 우주 전함 야마토 2205 야마토5 오션바다이야기게임 야마토오락 실게임 바다이야기게임기 오락실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 먹튀 바다슬롯 먹튀 알라딘다운로드 강원랜드 슬롯머신 종류 빠징코 슬롯머신 슬롯머신무료 슬롯머신 확률 무료슬롯머신777 슬롯종류 인터넷릴게임 동영상황금성 오션파라다이스하는방법 일본빠칭코게임 신천기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7하는곳 황금성온라인게임 릴게임손오공게임 바다이야기게임하기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릴 야마토 온라인오션게임 체리게임 바다이야기 확률 황금성게임다운받기 릴게임뜻 황금성오락실 황금성게임다운 무료야마토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게임 바다이야기 무료체험 인터넷 바다이야기 슬롯머신 777 신천지게임하는곳 야마토3다운로드게임사이트 황금성 게임랜드 바다시즌7게임 프라그마틱 순위 바다이야기 온라인 바다이야기 파칭코 황금성게임동영상 인터넷백경 릴게임놀이터 슬롯 추천 디시 바다이야기 게임방법 양귀비게임설명 88오락실릴게임 인터넷야마토게임 100원바다이야기 알라딘릴게임 사이트 우주전함 야마토 먹튀 릴게임팡게임 릴게임뜻 10원야마토 야마토3게임 빠징코 슬롯머신 오리지널바다이야기 일본 파칭코 야마토5게임공략법 온라인야마토게임 중고게임기매매 야마토2게임동영상 릴게임 추천 사이트 야마토5게임공략법 알라딘게임공략법 성인릴게임 성인놀이터 편집자주어느 날, 극우적 생각을 내보이며 부모를 걱정 시키는 아이. 더 나아가 서울서부지법 폭력 난동에 참여한 10대들. 우리 아이들은 어떻게 자라고 있는 것인가. 한국일보는 10대들의 정치 인식을 분석하고 그 원인과 해법을 파고 들었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10학년 학생들이 정치 과목 수업에 참여해 의견을 말하기 위해 손을 드는 모습. 이날 수업에선 미 워싱턴포스트와 독일 연방군이 촬영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보도사진의 관점을 비교·분석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저 서울 직장 는 토론하는 수업이 편하고 좋아요. 어른이 되면 직접 정치적 판단을 하게 되잖아요. 학교에서 연습해보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지난 5월 20일 오전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마리퀴리 김나지움(독일 인문계 중·고등학교 과정). 토론 수업을 막 마친 남학생 에밀 퓐프스튀크(17)는 눈을 빛내며 말했다. 기자 앞으로 무직자 개인회생 먼저 의자를 끌고 와 적극적인 태도로 답변하는 것만 해도 우리나라 공교육 현장에서 쉽게 보기 어려운 모습이었다.
전쟁 사진에서 의도 읽어내는 학생들... 교실이 시끄럽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10학년을 대상으로 정 사금융연체되면 치 과목 수업이 진행되는 모습.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교실 모니터 화면 왼쪽에는 독일 연방군, 오른쪽에는 워싱턴포스트가 찍은 전쟁 보도사진이 띄워져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이날 10학년(한국의 고교 1학년) 20여 명이 모인 학급의 수업 주제는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사진 분석' 주택공급신청서 이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보도사진을 분석해보는 수업으로, 교실 앞 큰 모니터 화면에는 각각 독일 연방군, 워싱턴포스트발 사진이 나란히 띄워졌다.
뤼디거 베커 정치 교사는 조별로 학생 4, 5명씩을 나눠 앉히고, 5분간 각자 배정받은 사진 한 장을 나름대로 분석한 다음 그 내용을 조원들과 공유하도록 했다. 교실은 학생들이 열띠게 의견 주택청약예금 을 나누는 소리로 금세 시끄러워졌다.
토의가 끝나자 조별로 교실 앞에 나와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독일 연방군발 사진을 맡은 조에 주어진 사진은 모래먼지를 일으키며 전진 중인 우크라이나 탱크 사진, 단체로 모인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군복과 무기를 갖추고 카메라를 응시하는 사진 등이었다. 초반엔 주로 "큰 탱크가 돌진하고 있다" "단체사진은 연출된 것으로 보인다" 등 장면 자체를 묘사하는 단순한 분석이 나왔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10학년 대상 정치 수업이 토론형으로 진행되는 모습. 조별로 모여 앉은 학생들이 각자 배정받은 사진을 태블릿으로 보며 분석하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인상적인 건 그다음부터였다. 베커 교사가 "독일 연방군 사진에서 어떤 의도가 보이느냐"고 묻자 학생들은 주저하지 않고 손을 들었다. 한 학생이 "탱크 사진은 군대의 권력과 힘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답했다. 또 다른 학생은 "강인해 보이는 단체사진을 통해 우크라이나에도 승전의 희망이 있다는 걸 보여주려는 것 같다"고 했다.
워싱턴포스트 사진을 맡은 조도 마찬가지 순서로 논의가 진전됐다. 참담한 표정을 짓는 전쟁 피란민의 모습, 폐허가 된 마을과 칙칙한 회색빛 하늘의 모습이 담긴 사진 구석구석을 묘사하던 학생들은 이내 "독일 연방군과 달리 워싱턴포스트는 전쟁의 우울함과 슬픔을 강조하고 있다"는 분석에 도달했다.
베커 교사는 끝으로 둘 중 어떤 관점이 더 적합하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어떤 학생은 "우크라이나가 강하다는 메시지를 강조할 수 있으니 독일 연방군 사진이 더 적절하다"고 답했고, 또 다른 학생은 "워싱턴포스트 사진이 전쟁 참상을 현실적으로 보여줘 더 바람직하다"고 했다. "시각이 편향되지 않으려면 두 관점 모두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도 있었다. 교사도 학생도, 어떤 의견이 정답이라고 확정 짓지 않은 채 수업이 마무리됐다.
"학생이 정치에 대해 판단하도록 돕는 게 공교육의 역할"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마리퀴리 김나지움 교무실에서 뤼디거 베커(왼쪽) 정치 교사와 토마스 마이네케 교장이 한국일보와의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이날 이뤄진 토론형 시민교육은 독일 공교육에선 흔하게 찾아볼 수 있는 수업 형태다. 1976년 채택된 이래 현재까지 독일 시민·정치교육의 제1 원칙으로 적용되는 '보이텔스바흐 원칙' 덕이다.
△주입 금지(교사가 정치적 입장을 학생에게 강요해선 안 됨) △논쟁성의 원칙(사회·학문적으로 논쟁적인 사안은 수업에서도 논쟁적으로 다뤄야 함) △자기 이익 판단 능력 강화(교육의 목적은 학생이 이해관계에 따라 정치적으로 행동하도록 판단력을 키우는 것)를 말한다. 자신의 이익에 충실하도록, 즉 서민이 고소득층의 이익을 위해 투표하는 등의 계층 배반적 선택을 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점이 눈에 띈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마리퀴리 김나지움에서 진행된 토론형 정치 수업에서 베커 교사가 10학년 학생들의 토의를 돕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보이텔스바흐 원칙은 교권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수업에서 정치 주제를 다뤘단 이유로 민원이 들어오진 않는지 묻자, 또 다른 정치 교사인 윌리엄 슈탈은 당연하다는 듯 "그런 일은 없다"고 답했다. 이어 "학부모들도 학생이 수업에서 있는 그대로의 정보를 배우고 그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하도록 돕는 게 공교육의 책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독일의 주 단위로 배포되는 교육 커리큘럼엔 "정치 수업에는 분석 및 토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있는데,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그 자체로 교사의 수업권이 보장된다. 독일 헌법상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전파할 권리'가 명시된 점도 마찬가지다.
토론의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난다. 토마스 마이네케 교장은 "수업뿐만 아니라 AFD(독일의 유명 극우 정당)나 좌파당 등 다양한 정당 정치인을 학교로 섭외해 토론을 한다"며 "그때 학생들은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고, 이성적으로 토론에 참여하며 스스로 판단하는 모습을 보인다"고 전했다.
"친구들과 교육 정책, 전쟁에 대해 대화... 두렵지 않아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마리퀴리 김나지움의 10학년 대상 토론형 정치 수업에서 한 학생이 발언을 하기 위해 손을 들고 있다. 브란덴부르크=최은서 기자
학생들 역시 토론형 시민교육을 통해 실생활에서 효과를 체감한다고 입을 모았다. 수업에 적극 참여한 헬레네 에어케(16)는 "매일 듣는 뉴스지만 미디어 속 정보는 너무 광범위해 판단이 어려울 때가 있다"며 "이런 수업을 듣고 나면 요약도 되고 뉴스가 더 잘 이해된다"고 말했다.
정치·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과 적극성도 커진다. 퓐프스튀크는 "평소 친구들과 정치·사회 문제에 대해 정말 많이 얘기한다"며 "요즘은 학교 교육 정책이나 전쟁 문제같이 우리 일상과 직접 연관된 이슈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고 말했다. 마라 토노(16)는 "모든 학생이 수업에서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고, 잘 모르더라도 선생님이 함께 논의하도록 도와주니 두렵지 않다"고 했다.
역사인식을 제대로 확립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그간 받았던 시민교육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수업을 묻자 퓐프스튀크는 "나치에 대한 역사를 배웠을 때"라고 즉답했다. 그러더니 스스로 부연했다. "민주주의가 언제든 공격당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걸 학교에서 배워서 다행이라고 생각했어요."
<소년이 자란다>시리즈
①소년을 만나다 ②10대와 정치 ③유튜브와 아이들
④독일의 교실 ⑤핀란드의 교실 ⑥대책 없는 정부
■ 목차별로 읽어보세요
① 소년을 만나다
• 극우 집회서 만난 16살 도현이···"부모님이 초5부터 학교 안 보내, 교회서 역사 공부했다"(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1915230000367)
• 이승만 업적쓰기 수행평가, 군사훈련···교회 대안학교 탈출하려니 숟가락 던진 부목사(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3015550002059)
② 10대와 정치
• 고교생 10명 중 4명 '개표 부정' 믿고 계엄엔 반대…'십대남' 현상 확인됐다(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2906560003629)
• '노무현 조롱'이 놀이가 된 교실…교사들 "민원 무서워 아무 말 안 해요"(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3010280001301)
③ 유튜브와 아이들
• 페미니즘 때리면 구독자 오른다...10대 파고드는 극우 유튜버들(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90215480001135)
• "3년 반 동안 단 5건"...유튜브 가짜뉴스에 손 놓은 정부(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83010100004901)
※ 본 기획물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브란덴부르크= 최은서 기자 silver@hankookilbo.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