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토 릴게임 ㎵ 88.rhf865.top ㎵ 릴게임임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규용남 작성일25-09-21 23:19 조회11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46.rnf665.top 6회 연결
-
http://38.rcy714.top 8회 연결
본문
【38.rhf865.top】
고전릴게임 10원 야마토게임 우주 전함 야마토 2205 바다이야기앱 인터넷백경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오션파라다이스하는방법 릴게임정글북 바다이야기 먹튀사이트 바다이야기 슬롯 오리지날바다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야마토하는곳 손오공바다이야기 바다신 게임 황금성 게임랜드 황금성오리지널 바다이야기 5만 릴게임야마토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릴게임다빈치 온라인슬롯 배팅법 슬롯머신 잭팟 종류 바다이야기기프트전환 슬롯게임 순위 2013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조작 슬롯 머신 이기는 방법 야마토 창공 오션파라다이스 다운로드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게임몰릴게임 백경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릴게임 사이트 추천 및 안내 바다이야기 공략법 오션슬롯 주소 바다게임 바다이야기 하는 법 릴게임추천사이트 야마토2다운로드 황금성배당줄 최신 릴게임 무료충전바다이야기 릴게임안전사이트 바다이야기확률 온라인 릴게임 손오공 뉴야마토 백경게임예시 야마토 게임방법 슬롯머신 확률 모바일 릴게임 바다이야기 디시 성인오락황금성 카지노릴게임 황금성오락실 잭팟게임 성인오락황금성 손오공게임다운 sp야마토 야마토연타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릴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시즌7 창원경륜경륜장 야마토게임다운 져스트릴게임 릴게임손오공하는법 황금성제주도 슬롯 게임사 추천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릴게임황금성오션바다 용의눈게임 야마토게임장주소 신천지다운로드 무료황금성게임 모바일파칭코 백경릴게임 빠칭코 한게임머니파는곳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신천지게임 하는곳 백경게임랜드 온라인삼국지 오토 강원랜드 슬롯머신 확률 공개 야마토 연타 다빈치게임다운로드 신규슬롯사이트 프라그마틱 무료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카지노 슬롯머신 모바일릴게임 종류 pc게임 종합 릴게임 릴게임이란 바다이야기하는곳 바다이야기 넥슨 릴게임알라딘주소 뽀빠이놀이터릴게임 바다이야기pc 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게임다운 바다이야기 야마토카지노 백경예시 슬롯종류 잘터지는 슬롯 모바일릴게임 황금성게임공략 법 황금성하는법 온라인오션게임 파칭코슬롯 바다이야기황금고래 슬롯머신 777 릴게임추천 한국파친코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릴게임 황금성릴게임 릴야마토 손오공바다이야기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릴게임 황금성 알라딘체험머니 바둑이라이브 오리 지날 바다 손오공게임온라인 [김종성 기자]
강원도 양구 출신 화가인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은 거칠고 투박한 느낌을 준다. 그런 속에서 당대 여성의 삶이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버선 없이 맨발로 검정 고무신을 신은 여성은 절굿공이를 내리찍는다. 까무잡잡한 얼굴 아래로 하얀 저고리가 있고, 등 뒤에는 포대기에 싸인 아이가 업혀 있다. 노동과 양육을 동시에 감당하는 여성의 모습이다.
그림 속에는 여성과 아이, 절구와 절굿공이 외에는 주변 배경이 사실상 전무하다. 불투명한 느낌을 주는 이 그림에서 여성의 노동과 아이의 모습만이 역력히 표현된다. 거친 갈색 분위기에 둘러싸인 여성은 고단할 것 같으면서도 어딘가 힘을 풍긴다.
신용회복이란
▲ 박수근 ‘나무와 두 여인’ 1956년 작과 1962년 작. <우리의 화가 박수근>(시공아트, 1995)을 재촬영 한 것이다.
직장인채무통합
ⓒ 시공아트
박수근의 또 다른 대표작인 <고목과 여인>에는 아이 업고 서 있는 여성과 머리에 짐을 이고 걷는 여성이 등장한다. 화강암 같은 질감이 돋보이는 이 그림에서는 두 여성 사이에 앙상한 고목이 버티고 서 저축은행 대출 있다. 고목에는 잎은 없고 가지만 달려 있다. 이 작품에도 배경이 없다. 나무가 있으면 산이 있을 만도 하고 걸어가는 여성이 있으면 길이 나올 만도 하지만, 이 그림에는 나무와 두 여성과 아기밖에 나오지 않는다.
다른 작품들도 그렇지만, 박수근의 작품은 거칠면서도 정감이 있다.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장면들을 묘사해서인지 국민은행 전세금대출 친숙한 느낌이 배어난다. 그는 이런 방식으로 자기 시대 서민들의 모습을 마치 역사 기록물처럼 다음 세대에 전달했다. 그의 그림에는 배경이 거의 없지만, 당대의 시대적 배경만큼은 우리에게 잘 전달된다.
조선시대 백자의 원료인 백토의 생산지 중 하나는 양구다. 양구 백토의 생산지는 화강암이 많은 곳이다. <지질학회지> 2016년 제52권 제 원리금 6호에 실린 김형수·김동우·최돈원의 공동논문 '조선백자의 주 원료로 사용된 강원도 양구 백토의 지질학적 특성'은 "양구백토 산출지는 단층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토의 모암(母巖)은 선캄브리아시대 석영/흑운모 편암과 쥐라기 흑운모 화강암"이라고 설명한다.
박수근의 작품에 대한 해설에서는 "화강암 같은 화폭", "화강암의 질감"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고향에 화강암이 많은 것과 무관치 않은 일이다. 강원도 양구의 자연환경과 당대 민중의 일상을 한국적 분위기로 융화시킨 것이 박수근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농민을 소박하게 묘사한 밀레 작품에 반해
박수근의 로망은 장 프랑수아 밀레(1814~1875)였다. '만종'과 '이삭' 등을 남긴 이 프랑스 화가가 그의 롤모델이었다. 농민을 소박하게 묘사한 밀레의 작품들에 반했던 것이다.
육군본부가 발행한 <육군 국가방위의 중심군> 2022년 제444호에 실린 이환길 문화칼럼니스트의 칼럼 '서민 곁의 서민화가 박수근'은 "(박수근은) 밀레와 같은 화가가 되게 해달라고 매일 기도"했다고 한 뒤 "농가에서 일하는 아낙네와 나물을 뜯는 소녀들을 그리며 토속과 미감과 정서를 익혔다"고 말한다.
2005년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인 하수봉의 '박수근의 생애와 소묘작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박수근이 밀레의 작품을 처음 접한 것은 12세 때인 1926년이다. 양구공립보통학교 시절에 접한 밀레의 그림은 박수근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박수근의 작품들은 표현 기법은 밀레와 다르지만, 그림의 소재는 밀레와 별반 차이가 없다.
밀레처럼 자기 시대 대중을 그림에 담겠다는 포부를 품은 소년화가 박수근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제1차 세계대전 발발 5개월 전인 1914년 2월 21일 양구군 정림리에서 출생한 그는 처음에는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지만, 아버지의 광산 사업이 실패한 뒤로는 극빈한 경제적 상태로 내몰렸다. 이 때문에 그의 학업은 1927년에 보통학교 졸업으로 끝났다.
그러나 열세 살인 그때부터 그의 인간 승리가 시작됐다. 가족 중 누구도 미술 공부를 도울 수 없는 상황에서 그는 애초의 꿈을 포기하지 않고 그대로 밀고 나갔다. 생계에도 신경을 쓰면서 독학으로 그림을 배우는 고난의 길을 마다하지 않은 것이다.
어린 소년의 재능과 열정에 주목한 일본인 교사가 도움을 주기는 했지만, 박수근은 학교 시스템의 도움을 받지 않고 사실상 자기 힘으로 미술 세계를 개척했다. 위의 이환길 칼럼은 "소년 박수근은 홀로 그림 공부에 매진했다"라며 "얼음 낀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고 동생들 먹일 나물과 열매를 채취하러 다니면서 그림의 기초를 다졌다"고 말한다.
이런 노력은 18세 때인 1932년에 조선총독부가 주최하는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 입상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선전 입상은 1936년과 1937년, 1939~1943년 기간에도 계속됐다.
1927년부터 군국주의 노선을 본격화한 일본은 1931년에 만주사변을 도발하고 1937년에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박수근의 선전 입상은 이런 분위기에 편승한 것은 아니다. 그의 출품작은 '봄이 오다', '일하는 여인', '봄', '농가의 여인', '맷돌질하는 여인', '일하는 여인' 등이다. 1936년 입선작인 '일하는 여인'은 1957년에 나온 '절구질하는 여인'과 소재가 같다. 자기가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려 상을 받았던 것이다.
가난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예술에만 몰두
▲ 박수근 가족의 1959년 창신동 시절. <박수근>(갤러리현대, 2002)을 재촬영한 것이다.
ⓒ 갤러리현대
연속적인 입상을 통해 실력은 증명됐지만, 박수근은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위 하수봉 논문에 인용된 1990년 7월 18일 자 KBS 프로그램 '지방시대를 열다, 화가 박수근'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때 박수근의 하숙집을 몇 차례 방문한 친구 이연호는 "당시 대단히 빈한한 생활을 했고, 하숙비를 내질 못해 하숙집에서 이불이며 책이며 화구를 마당으로 내던졌다"고 회고했다.
경제적으로 의지할 데 없는 실력파 화가가 총독부가 주최하는 선전에서 연거푸 입상했다. 자칫 친일파의 길로 빠질 수도 있는 상황에서 박수근은 가난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예술에만 몰두했다. 이 상태로 독자적인 미술 세계를 만들어냈다.
1932년부터 1944년까지 선전에 연속 입상한 장우성(1912~2005)은 1944년에 군국주의 정치행사인 결전미술전에 '항마'를 출품했다. 영국과 미국을 악마로 상정하고 이에 대한 항쟁을 촉구하는 이 작품은 결전미술전의 입선작이 됐다. 장우성은 해방 뒤에는 어이없게도 이순신·윤봉길·유관순의 초상화를 그렸다.
운보 김기창(1913~2001)은 1931년 선전에서 입상하고 1937~1940년 선전에서 4연속으로 특선이 됐다. 그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징병제를 찬양하는 그림인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를 싣고, 잡지 <춘추>에 해군지원병제도를 선전하는 표지 그림을 실었다. 그는 해방 뒤에는 '무례하게도' 세종대왕 초상화를 제작했다. <친일인명사전> 제1권 김기창 편은 그가 자기 얼굴을 기초로 세종의 영정을 그려냈다고 말한다.
박수근은 또래 화가들인 장우성이나 김기창 못지않게 주목을 받았지만, 그들처럼 군국주의에 휩쓸리지 않았다. 하숙집 주인이 언제 무엇을 내다버릴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꿋꿋이 자기 길을 걸었다. 일본군국주의의 압력과 유혹에 휘둘리지 않고 사실상 자기 힘으로 한국 미술의 한 축을 구축해낸 것이다.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인 1950년 봄에 박수근은 자산계급 정당인 조선민주당의 공천을 받고 북한 강원도의 금화군 대의원선거에서 당선됐다. 위 하수봉 논문에 인용된 아내 김복순의 증언에 따르면, 박수근은 한국전쟁 중에 국군과 유엔군이 자기 마을에 들어오자 '국군 환영'이라고 적힌 포스트와 플래카드를 거리거리에 붙이고 다니며 기쁨을 표시했다고 한다.
박수근은 세상과 완전히 담쌓고 사는 예술가는 아니었다. 위의 사례에서 확인되듯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공개 표출할 수 있는 예술가였다.
그런 그가 가난을 피하기 위해 '항마'나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 같은 그림을 그리지 않고, 자기 세계를 꿋꿋이 지키며 일제강점기를 버텨냈다. 그런 자세를 기반으로 그는 마치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처럼 당대의 대중을 화폭에 담아 가장 한국적인 미술 세계를 만들어냈다. 그가 공들여 우리 사회에 바친 문화적 유산들은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백자' 같은 것이다.
야마토 릴게임 ㎵ 39.rhf865.top ㎵ 릴게임임대
야마토 릴게임 ㎵ 2.rhf865.top ㎵ 릴게임임대
야마토 릴게임 ㎵ 31.rhf865.top ㎵ 릴게임임대
야마토 릴게임 ㎵ 39.rhf865.top ㎵ 릴게임임대
고전릴게임 10원 야마토게임 우주 전함 야마토 2205 바다이야기앱 인터넷백경 온라인릴게임먹튀검증 오션파라다이스하는방법 릴게임정글북 바다이야기 먹튀사이트 바다이야기 슬롯 오리지날바다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야마토하는곳 손오공바다이야기 바다신 게임 황금성 게임랜드 황금성오리지널 바다이야기 5만 릴게임야마토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릴게임다빈치 온라인슬롯 배팅법 슬롯머신 잭팟 종류 바다이야기기프트전환 슬롯게임 순위 2013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조작 슬롯 머신 이기는 방법 야마토 창공 오션파라다이스 다운로드 오리지날야마토연타예시 게임몰릴게임 백경게임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릴게임 사이트 추천 및 안내 바다이야기 공략법 오션슬롯 주소 바다게임 바다이야기 하는 법 릴게임추천사이트 야마토2다운로드 황금성배당줄 최신 릴게임 무료충전바다이야기 릴게임안전사이트 바다이야기확률 온라인 릴게임 손오공 뉴야마토 백경게임예시 야마토 게임방법 슬롯머신 확률 모바일 릴게임 바다이야기 디시 성인오락황금성 카지노릴게임 황금성오락실 잭팟게임 성인오락황금성 손오공게임다운 sp야마토 야마토연타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릴게임다운로드 바다이야기시즌7 창원경륜경륜장 야마토게임다운 져스트릴게임 릴게임손오공하는법 황금성제주도 슬롯 게임사 추천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릴게임황금성오션바다 용의눈게임 야마토게임장주소 신천지다운로드 무료황금성게임 모바일파칭코 백경릴게임 빠칭코 한게임머니파는곳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신천지게임 하는곳 백경게임랜드 온라인삼국지 오토 강원랜드 슬롯머신 확률 공개 야마토 연타 다빈치게임다운로드 신규슬롯사이트 프라그마틱 무료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카지노 슬롯머신 모바일릴게임 종류 pc게임 종합 릴게임 릴게임이란 바다이야기하는곳 바다이야기 넥슨 릴게임알라딘주소 뽀빠이놀이터릴게임 바다이야기pc 바다이야기 바다이야기게임다운 바다이야기 야마토카지노 백경예시 슬롯종류 잘터지는 슬롯 모바일릴게임 황금성게임공략 법 황금성하는법 온라인오션게임 파칭코슬롯 바다이야기황금고래 슬롯머신 777 릴게임추천 한국파친코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릴게임 황금성릴게임 릴야마토 손오공바다이야기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릴게임 황금성 알라딘체험머니 바둑이라이브 오리 지날 바다 손오공게임온라인 [김종성 기자]
강원도 양구 출신 화가인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은 거칠고 투박한 느낌을 준다. 그런 속에서 당대 여성의 삶이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버선 없이 맨발로 검정 고무신을 신은 여성은 절굿공이를 내리찍는다. 까무잡잡한 얼굴 아래로 하얀 저고리가 있고, 등 뒤에는 포대기에 싸인 아이가 업혀 있다. 노동과 양육을 동시에 감당하는 여성의 모습이다.
그림 속에는 여성과 아이, 절구와 절굿공이 외에는 주변 배경이 사실상 전무하다. 불투명한 느낌을 주는 이 그림에서 여성의 노동과 아이의 모습만이 역력히 표현된다. 거친 갈색 분위기에 둘러싸인 여성은 고단할 것 같으면서도 어딘가 힘을 풍긴다.
신용회복이란
▲ 박수근 ‘나무와 두 여인’ 1956년 작과 1962년 작. <우리의 화가 박수근>(시공아트, 1995)을 재촬영 한 것이다.
직장인채무통합
ⓒ 시공아트
박수근의 또 다른 대표작인 <고목과 여인>에는 아이 업고 서 있는 여성과 머리에 짐을 이고 걷는 여성이 등장한다. 화강암 같은 질감이 돋보이는 이 그림에서는 두 여성 사이에 앙상한 고목이 버티고 서 저축은행 대출 있다. 고목에는 잎은 없고 가지만 달려 있다. 이 작품에도 배경이 없다. 나무가 있으면 산이 있을 만도 하고 걸어가는 여성이 있으면 길이 나올 만도 하지만, 이 그림에는 나무와 두 여성과 아기밖에 나오지 않는다.
다른 작품들도 그렇지만, 박수근의 작품은 거칠면서도 정감이 있다.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장면들을 묘사해서인지 국민은행 전세금대출 친숙한 느낌이 배어난다. 그는 이런 방식으로 자기 시대 서민들의 모습을 마치 역사 기록물처럼 다음 세대에 전달했다. 그의 그림에는 배경이 거의 없지만, 당대의 시대적 배경만큼은 우리에게 잘 전달된다.
조선시대 백자의 원료인 백토의 생산지 중 하나는 양구다. 양구 백토의 생산지는 화강암이 많은 곳이다. <지질학회지> 2016년 제52권 제 원리금 6호에 실린 김형수·김동우·최돈원의 공동논문 '조선백자의 주 원료로 사용된 강원도 양구 백토의 지질학적 특성'은 "양구백토 산출지는 단층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토의 모암(母巖)은 선캄브리아시대 석영/흑운모 편암과 쥐라기 흑운모 화강암"이라고 설명한다.
박수근의 작품에 대한 해설에서는 "화강암 같은 화폭", "화강암의 질감"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고향에 화강암이 많은 것과 무관치 않은 일이다. 강원도 양구의 자연환경과 당대 민중의 일상을 한국적 분위기로 융화시킨 것이 박수근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농민을 소박하게 묘사한 밀레 작품에 반해
박수근의 로망은 장 프랑수아 밀레(1814~1875)였다. '만종'과 '이삭' 등을 남긴 이 프랑스 화가가 그의 롤모델이었다. 농민을 소박하게 묘사한 밀레의 작품들에 반했던 것이다.
육군본부가 발행한 <육군 국가방위의 중심군> 2022년 제444호에 실린 이환길 문화칼럼니스트의 칼럼 '서민 곁의 서민화가 박수근'은 "(박수근은) 밀레와 같은 화가가 되게 해달라고 매일 기도"했다고 한 뒤 "농가에서 일하는 아낙네와 나물을 뜯는 소녀들을 그리며 토속과 미감과 정서를 익혔다"고 말한다.
2005년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인 하수봉의 '박수근의 생애와 소묘작품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박수근이 밀레의 작품을 처음 접한 것은 12세 때인 1926년이다. 양구공립보통학교 시절에 접한 밀레의 그림은 박수근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박수근의 작품들은 표현 기법은 밀레와 다르지만, 그림의 소재는 밀레와 별반 차이가 없다.
밀레처럼 자기 시대 대중을 그림에 담겠다는 포부를 품은 소년화가 박수근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제1차 세계대전 발발 5개월 전인 1914년 2월 21일 양구군 정림리에서 출생한 그는 처음에는 유복한 환경에서 성장했지만, 아버지의 광산 사업이 실패한 뒤로는 극빈한 경제적 상태로 내몰렸다. 이 때문에 그의 학업은 1927년에 보통학교 졸업으로 끝났다.
그러나 열세 살인 그때부터 그의 인간 승리가 시작됐다. 가족 중 누구도 미술 공부를 도울 수 없는 상황에서 그는 애초의 꿈을 포기하지 않고 그대로 밀고 나갔다. 생계에도 신경을 쓰면서 독학으로 그림을 배우는 고난의 길을 마다하지 않은 것이다.
어린 소년의 재능과 열정에 주목한 일본인 교사가 도움을 주기는 했지만, 박수근은 학교 시스템의 도움을 받지 않고 사실상 자기 힘으로 미술 세계를 개척했다. 위의 이환길 칼럼은 "소년 박수근은 홀로 그림 공부에 매진했다"라며 "얼음 낀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고 동생들 먹일 나물과 열매를 채취하러 다니면서 그림의 기초를 다졌다"고 말한다.
이런 노력은 18세 때인 1932년에 조선총독부가 주최하는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 입상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선전 입상은 1936년과 1937년, 1939~1943년 기간에도 계속됐다.
1927년부터 군국주의 노선을 본격화한 일본은 1931년에 만주사변을 도발하고 1937년에 중일전쟁을 일으켰다. 박수근의 선전 입상은 이런 분위기에 편승한 것은 아니다. 그의 출품작은 '봄이 오다', '일하는 여인', '봄', '농가의 여인', '맷돌질하는 여인', '일하는 여인' 등이다. 1936년 입선작인 '일하는 여인'은 1957년에 나온 '절구질하는 여인'과 소재가 같다. 자기가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려 상을 받았던 것이다.
가난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예술에만 몰두
▲ 박수근 가족의 1959년 창신동 시절. <박수근>(갤러리현대, 2002)을 재촬영한 것이다.
ⓒ 갤러리현대
연속적인 입상을 통해 실력은 증명됐지만, 박수근은 가난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위 하수봉 논문에 인용된 1990년 7월 18일 자 KBS 프로그램 '지방시대를 열다, 화가 박수근'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때 박수근의 하숙집을 몇 차례 방문한 친구 이연호는 "당시 대단히 빈한한 생활을 했고, 하숙비를 내질 못해 하숙집에서 이불이며 책이며 화구를 마당으로 내던졌다"고 회고했다.
경제적으로 의지할 데 없는 실력파 화가가 총독부가 주최하는 선전에서 연거푸 입상했다. 자칫 친일파의 길로 빠질 수도 있는 상황에서 박수근은 가난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예술에만 몰두했다. 이 상태로 독자적인 미술 세계를 만들어냈다.
1932년부터 1944년까지 선전에 연속 입상한 장우성(1912~2005)은 1944년에 군국주의 정치행사인 결전미술전에 '항마'를 출품했다. 영국과 미국을 악마로 상정하고 이에 대한 항쟁을 촉구하는 이 작품은 결전미술전의 입선작이 됐다. 장우성은 해방 뒤에는 어이없게도 이순신·윤봉길·유관순의 초상화를 그렸다.
운보 김기창(1913~2001)은 1931년 선전에서 입상하고 1937~1940년 선전에서 4연속으로 특선이 됐다. 그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징병제를 찬양하는 그림인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를 싣고, 잡지 <춘추>에 해군지원병제도를 선전하는 표지 그림을 실었다. 그는 해방 뒤에는 '무례하게도' 세종대왕 초상화를 제작했다. <친일인명사전> 제1권 김기창 편은 그가 자기 얼굴을 기초로 세종의 영정을 그려냈다고 말한다.
박수근은 또래 화가들인 장우성이나 김기창 못지않게 주목을 받았지만, 그들처럼 군국주의에 휩쓸리지 않았다. 하숙집 주인이 언제 무엇을 내다버릴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꿋꿋이 자기 길을 걸었다. 일본군국주의의 압력과 유혹에 휘둘리지 않고 사실상 자기 힘으로 한국 미술의 한 축을 구축해낸 것이다.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인 1950년 봄에 박수근은 자산계급 정당인 조선민주당의 공천을 받고 북한 강원도의 금화군 대의원선거에서 당선됐다. 위 하수봉 논문에 인용된 아내 김복순의 증언에 따르면, 박수근은 한국전쟁 중에 국군과 유엔군이 자기 마을에 들어오자 '국군 환영'이라고 적힌 포스트와 플래카드를 거리거리에 붙이고 다니며 기쁨을 표시했다고 한다.
박수근은 세상과 완전히 담쌓고 사는 예술가는 아니었다. 위의 사례에서 확인되듯이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공개 표출할 수 있는 예술가였다.
그런 그가 가난을 피하기 위해 '항마'나 '님의 부르심을 받들고서' 같은 그림을 그리지 않고, 자기 세계를 꿋꿋이 지키며 일제강점기를 버텨냈다. 그런 자세를 기반으로 그는 마치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처럼 당대의 대중을 화폭에 담아 가장 한국적인 미술 세계를 만들어냈다. 그가 공들여 우리 사회에 바친 문화적 유산들은 '때'가 묻지 않은 순수한 '백자' 같은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