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막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규용남 작성일25-09-17 13:24 조회2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60.kissjav.click 22회 연결
-
http://93.kissjav.help 21회 연결
본문
‘주름’ 깊은 마을… 소멸 위기 ‘시름’
파주민북마을 행정을 지원하는 파주시 장면면 행정복지센터. 김영호기자
박경호 통일촌 청년회장(55)은 지난해 20대 딸 2명을 파주시내에 정착한 지 오래된 어머니 댁으로 보냈다. 학업과 직장 때문이었다. 박 회장은 갓난아기 때인 1973년 어머니 등에 업혀 통일촌에 들어와 반세기 넘게 살고 있다. 박 회장은 “민통선은 특수지역으로 살려면 모든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민통선 생활은 우리 대(代)에서 끝내고 싶다. 그래서 (내가) 등을 떠밀었다”고 말했다. 그는 “ 에이앤피 (딸들이) 통일촌으로 돌아올지는 알 수 없다. 후회하지 않는다”고 털어 놨다.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에서 젊은이들이 떠나면서 마을공동체 지속성에 빨간불이 커졌다. 정착 1세대는 초고령화됐고 3~4대(20~30대)는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마을 이탈을 당연시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민통선 조정과 소문 신용등급조회방법 만 요란하고 먹을 게 없는 접경지역 지원특별법의 현실적인 개정 등 대책이 없으면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 붕괴는 시간 문제”라고 진단했다.
파주민북마을 행정을 지원하는 파주시 장면면 행정복지센터. 김영호기자
■ 최근 인터넷간편대출 5년간 출생 2명, 사망 30명
파주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에서 출생은 단 2명에 그치고 있다. 2021~2022년 2년간은 각각 1명씩이었으나 2023년 이후 이마저 0명으로 멈췄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2021년 4명, 2022년 6명, 2023년 8명, 지난해 8명, 올 물질명사 상반기까지 4명 등 모두 30명이다. 이태성 파주시 장단면장은 “가임 여성(15~49세)이 감소해 인위적으로 외부 유입이 없으면 마을 유지가 어렵다. 파주시 차원의 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토로했다.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지 오래됐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 주민 682명 중 6 비정규직월차 5세 이상은 절반에 육박한다. 유엔은 한 사회(국가)의 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는데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은 이 기준을 뛰어넘었다.
통일촌 군내초등학교 전경. 김영호기자
구체적으로 보면 정착 3세대인 20~40대는 23%, 정착 4세대인 10대는 8% 등으로 나타났다. 10대 인구폭은 비무장지대 대성동초등학교와 통일촌 군내초등학교 존폐 문제와도 직결된다. 김동구 대성동마을 이장은 “대성동초등학교는 자체 진학이 어렵다. 문산읍 등 비민통선 초등학교는 학생 비율을 (원주민) 1명 대 (외지인) 5명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교육지원청은 “통일촌 군내초등학교도 학생 수 유지가 어려워 2008년 문산읍 마정초등학교로 통폐합하려 했으나 학부모들의 반대로 원주민과 외지인 혼합으로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인 해마루촌이 빈 집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김영호기자
또 다른 민통선 내 해마루촌은 빈집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홍정식 이장은 “아이들의 울음소리가 아예 없다. 대성동마을이나 통일촌보다 거주나 이동이 자유로워서인지 한 집 걸러 빈집이 많다. 세를 살려고 오는데 불편하니 조금 살다가 이사를 가는 실정이어서 관리마저 쉽지 않다”고 실상을 전했다.
■ 민통선 북상으로 신재생에너지단지·방위산업클러스터 조성, 인구 소멸 막아야
국내외 전문가들은 70여년간 분단에 갇혀 있는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의 소멸을 막기 위해 1959년 미8군이 군사적인 이유로 설정한 민통선 북상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강민조 국토연구원 센터장(지리학 박사)은 “민통선은 분단 갈등, 대치 공간이 아닌 평화 공존의 평화경제지대화가 돼야 한다”며 “에너지단지 유치와 방위산업클러스터 조성 등에 따른 일자리 창출로 70여년간의 희생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8일 국회에서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회장 김경일 파주시장)가 주최한 기본사회비전 선포식에서도 민통선에 에너지단지 구상이 제기됐다. 황우현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 주제발표를 통해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그리고 에너지 자립체계 구축 등을 위해 (민통선에) DMZ 평화에너지벨트를 구축해 남북한 공동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단 경험이 있는 독일의 전문가도 재생에너지단지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디르 캐파르트 독일 연방건축도시공간연구소(BBSR) 연구원은 “환경을 고려하는 신재생에너지는 일자리를 만들고 토지주 이득 등 민북마을의 삶을 개선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특화단지 조성 및 환경과 접목한 관광산업 운영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다만 박영민 대진대 교수(DMZ연구원장)는 “DMZ에서 환경생태, 역사문화, 안보평화 등의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며 “이를 근간으로 지속성, 민주성, 현실성 등 3대 원칙을 갖고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청년들은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을 왜 떠날까
이혜원양(왼쪽)과 박유빈양. 김영호기자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의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돌아가지 않고 줄곧 외지에서 거주하는 20대 청년들이 민통선을 떠난 이유와 대안 등을 설명했다.
▲박유빈양(21·대학생) 통일촌은 남북 분단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이 특별한 마을이 소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젊은 세대의 지속적인 이탈 때문이다. 생활 인프라 부족이 원인이다. 교육·문화시설, 교통망, 일자리 등 모든 게 도시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열악하다. 청년층에게 안정적인 생활 기반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마을은 매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남북관계 악화로 안보 불안이 장기 거주의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한다.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선 체류형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숙박형 농촌체험이나 주말농장, 특산물 가공체험 등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참여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 이런 경험은 ‘관광객’을 ‘잠재적 주민’으로 바꾸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정부의 단순한 농촌정책지원만으로는 부족하다. 접경지역 연계 관광 개발, 청년 창업 지원, 주거·생활 인프라 확충, 문화·교육 공간 조성 등 맞춤형 대책도 필요하다. 통일촌이 ‘떠나는 곳’이 아니라 청년이 찾아오고 머무는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거듭나게 해야 한다.
▲이혜원양(23·취업준비생) 문제는 교육과 진학의 한계다. 교육 인프라가 제한적이어서 학생들이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로 이동한다. 특히 대학 진학이나 전문교육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기가 어렵다는 점이 청년들이 이탈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둘째, 일자리 부족이다. 통일촌은 농업 이외의 산업기반이 취약하다. 민통선이라는 입지적 특수성으로 기업이나 서비스업 유입이 제한된다. 이는 청년층의 경제활동을 지속하기 어렵게 만든다. 셋째, 교통 및 생활 인프라 제약이다. 출입 통제가 일상화된 환경은 이동 불편을 초래하며 문화·의료·여가시설 부족은 청년들의 생활만족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넷째, 사회·개인적 요인이다. 또래 인구가 적어 교류와 공동체 활동이 제한되고 도시와 비교할 때 기회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외부로의 이탈을 가속화한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
‘분단’ 수렁에 갇힌 72년… 마을 존폐 위기 [파주 민북마을, 격동과 파란의 70년①]https://kyeonggi.com/article/20250819580259
대북정책 따라 통제·개방 반복… 긴장·불안 일상화 [파주 민북마을, 격동과 파란의 70년②]https://kyeonggi.com/article/20250819580110
민북마을 주민 58% “정부 지원 정책 부족” [파주 민북마을, 격동과 파란의 70년③]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831580245
김요섭 기자 yoseopkim@kyeonggi.com 김영호 기자 ho3920@kyeonggi.com
파주민북마을 행정을 지원하는 파주시 장면면 행정복지센터. 김영호기자
박경호 통일촌 청년회장(55)은 지난해 20대 딸 2명을 파주시내에 정착한 지 오래된 어머니 댁으로 보냈다. 학업과 직장 때문이었다. 박 회장은 갓난아기 때인 1973년 어머니 등에 업혀 통일촌에 들어와 반세기 넘게 살고 있다. 박 회장은 “민통선은 특수지역으로 살려면 모든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민통선 생활은 우리 대(代)에서 끝내고 싶다. 그래서 (내가) 등을 떠밀었다”고 말했다. 그는 “ 에이앤피 (딸들이) 통일촌으로 돌아올지는 알 수 없다. 후회하지 않는다”고 털어 놨다.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에서 젊은이들이 떠나면서 마을공동체 지속성에 빨간불이 커졌다. 정착 1세대는 초고령화됐고 3~4대(20~30대)는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마을 이탈을 당연시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민통선 조정과 소문 신용등급조회방법 만 요란하고 먹을 게 없는 접경지역 지원특별법의 현실적인 개정 등 대책이 없으면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 붕괴는 시간 문제”라고 진단했다.
파주민북마을 행정을 지원하는 파주시 장면면 행정복지센터. 김영호기자
■ 최근 인터넷간편대출 5년간 출생 2명, 사망 30명
파주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에서 출생은 단 2명에 그치고 있다. 2021~2022년 2년간은 각각 1명씩이었으나 2023년 이후 이마저 0명으로 멈췄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2021년 4명, 2022년 6명, 2023년 8명, 지난해 8명, 올 물질명사 상반기까지 4명 등 모두 30명이다. 이태성 파주시 장단면장은 “가임 여성(15~49세)이 감소해 인위적으로 외부 유입이 없으면 마을 유지가 어렵다. 파주시 차원의 인구 감소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토로했다.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지 오래됐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 주민 682명 중 6 비정규직월차 5세 이상은 절반에 육박한다. 유엔은 한 사회(국가)의 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하는데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은 이 기준을 뛰어넘었다.
통일촌 군내초등학교 전경. 김영호기자
구체적으로 보면 정착 3세대인 20~40대는 23%, 정착 4세대인 10대는 8% 등으로 나타났다. 10대 인구폭은 비무장지대 대성동초등학교와 통일촌 군내초등학교 존폐 문제와도 직결된다. 김동구 대성동마을 이장은 “대성동초등학교는 자체 진학이 어렵다. 문산읍 등 비민통선 초등학교는 학생 비율을 (원주민) 1명 대 (외지인) 5명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교육지원청은 “통일촌 군내초등학교도 학생 수 유지가 어려워 2008년 문산읍 마정초등학교로 통폐합하려 했으나 학부모들의 반대로 원주민과 외지인 혼합으로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인 해마루촌이 빈 집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김영호기자
또 다른 민통선 내 해마루촌은 빈집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홍정식 이장은 “아이들의 울음소리가 아예 없다. 대성동마을이나 통일촌보다 거주나 이동이 자유로워서인지 한 집 걸러 빈집이 많다. 세를 살려고 오는데 불편하니 조금 살다가 이사를 가는 실정이어서 관리마저 쉽지 않다”고 실상을 전했다.
■ 민통선 북상으로 신재생에너지단지·방위산업클러스터 조성, 인구 소멸 막아야
국내외 전문가들은 70여년간 분단에 갇혀 있는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의 소멸을 막기 위해 1959년 미8군이 군사적인 이유로 설정한 민통선 북상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강민조 국토연구원 센터장(지리학 박사)은 “민통선은 분단 갈등, 대치 공간이 아닌 평화 공존의 평화경제지대화가 돼야 한다”며 “에너지단지 유치와 방위산업클러스터 조성 등에 따른 일자리 창출로 70여년간의 희생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8일 국회에서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회장 김경일 파주시장)가 주최한 기본사회비전 선포식에서도 민통선에 에너지단지 구상이 제기됐다. 황우현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 주제발표를 통해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그리고 에너지 자립체계 구축 등을 위해 (민통선에) DMZ 평화에너지벨트를 구축해 남북한 공동재생에너지 인프라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분단 경험이 있는 독일의 전문가도 재생에너지단지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디르 캐파르트 독일 연방건축도시공간연구소(BBSR) 연구원은 “환경을 고려하는 신재생에너지는 일자리를 만들고 토지주 이득 등 민북마을의 삶을 개선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특화단지 조성 및 환경과 접목한 관광산업 운영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다만 박영민 대진대 교수(DMZ연구원장)는 “DMZ에서 환경생태, 역사문화, 안보평화 등의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며 “이를 근간으로 지속성, 민주성, 현실성 등 3대 원칙을 갖고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청년들은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을 왜 떠날까
이혜원양(왼쪽)과 박유빈양. 김영호기자
파주 민통선 북쪽마을의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돌아가지 않고 줄곧 외지에서 거주하는 20대 청년들이 민통선을 떠난 이유와 대안 등을 설명했다.
▲박유빈양(21·대학생) 통일촌은 남북 분단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이 특별한 마을이 소멸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젊은 세대의 지속적인 이탈 때문이다. 생활 인프라 부족이 원인이다. 교육·문화시설, 교통망, 일자리 등 모든 게 도시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열악하다. 청년층에게 안정적인 생활 기반이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마을은 매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남북관계 악화로 안보 불안이 장기 거주의 심리적 장벽으로 작용한다.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선 체류형 체험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숙박형 농촌체험이나 주말농장, 특산물 가공체험 등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참여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 이런 경험은 ‘관광객’을 ‘잠재적 주민’으로 바꾸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정부의 단순한 농촌정책지원만으로는 부족하다. 접경지역 연계 관광 개발, 청년 창업 지원, 주거·생활 인프라 확충, 문화·교육 공간 조성 등 맞춤형 대책도 필요하다. 통일촌이 ‘떠나는 곳’이 아니라 청년이 찾아오고 머무는 지속가능한 공동체로 거듭나게 해야 한다.
▲이혜원양(23·취업준비생) 문제는 교육과 진학의 한계다. 교육 인프라가 제한적이어서 학생들이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도시로 이동한다. 특히 대학 진학이나 전문교육 기회를 충분히 제공받기가 어렵다는 점이 청년들이 이탈하는 중요한 원인이다. 둘째, 일자리 부족이다. 통일촌은 농업 이외의 산업기반이 취약하다. 민통선이라는 입지적 특수성으로 기업이나 서비스업 유입이 제한된다. 이는 청년층의 경제활동을 지속하기 어렵게 만든다. 셋째, 교통 및 생활 인프라 제약이다. 출입 통제가 일상화된 환경은 이동 불편을 초래하며 문화·의료·여가시설 부족은 청년들의 생활만족도를 크게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넷째, 사회·개인적 요인이다. 또래 인구가 적어 교류와 공동체 활동이 제한되고 도시와 비교할 때 기회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이 외부로의 이탈을 가속화한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 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
‘분단’ 수렁에 갇힌 72년… 마을 존폐 위기 [파주 민북마을, 격동과 파란의 70년①]https://kyeonggi.com/article/20250819580259
대북정책 따라 통제·개방 반복… 긴장·불안 일상화 [파주 민북마을, 격동과 파란의 70년②]https://kyeonggi.com/article/20250819580110
민북마을 주민 58% “정부 지원 정책 부족” [파주 민북마을, 격동과 파란의 70년③]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831580245
김요섭 기자 yoseopkim@kyeonggi.com 김영호 기자 ho3920@kyeonggi.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